1. 리눅스에서 많이 쓰는 명령어

    반응형

    리눅스는 대표적으로 우분투, CentOS, KaliLinux 등이 있지만 Ubuntu 기준으로 기술한다.

     

    1. 리눅스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하기

     

    ps 명령어를 사용한다.

     

    옵션 설명
    -e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해 준다.
    -f 풀 포맷으로 보여준다. (UIP, PID)
    -l 긴 포맷으로 보여준다.
    -p 특정 PID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u 특정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여기서 PID는 프로세스를 구별하는 유일한 요소이며, UID는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람의 정보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그리고 PPID는 프로세스를 만든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나타내는 값이다.

     

    옵션으로는 aux, -e 등 많지만 -ef나 -el을 grep과 함께 많이 사용한다.

     

     

    $ ps -el | grep "찾을 문자열"
    예) $ ps -el | grep ripple

     

    2. 파일 찾기

    리눅스는 CLI 기반이라서 파일이 어디있는지 찾기 힘든 경우가 많다.

     

    단순히 아래 명령어를 치면 폴더가 검색되어 나온다.

    $ find | grep "찾을 문자열"

     

    아래만 명심하면 된다.

     

    * r로 시작하는 폴더만 찾기

    $ find -name "r*" -type d

     

    * r로 시작하는 파일만 찾기

    $ find -name "r*" -type f

     

    3. 프로세스 죽이기

    sudo kill -9 "PID번호"

    ps -el | grep "찾는 문자열"   << 이 명령어로 PID 확인 가능

     

     

    4. 로그 파일 열기

    tail -f "로그파일명"

    -f는 로그파일을 계속 감시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때 해당 폴더 안에 있거나 정확한 디렉토리명을 입력해줘야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