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docker 설치 docker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는 유일한 컨테이너 플랫폼 제공 프로그램이다. 즉,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 docker에서 말하는 컨테이너란 택배나 화물선 위에 수출용품을 싣는 컨테이너를 대신하여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담는 격리된 공간을 의미한다. 각각의 격리된 여러개의 소프트웨어 컨테이너에는 ubuntu, centos 등의 운영 체제 그리고 java, python, mysql, 아파치 같은 프로그램까지도 담기게된다. 그리고 각 컨테이너는 격리된 공간이기 때문에 한 컨테이너가 해킹을 당하던 한 컨테이너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컨테이너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1) 우선 작업 관리자에서 가상화를 사용함으로 설정했는지 확인 한다. (안되어 있는 경우 .. 4. 리눅스(우분투)에서 파티션 설정, 폴더 용량 늘리기 리눅스 파티션 설정 resize, resizepart 리눅스VM에서는 특정 폴더의 용량을 잡아 놓기 때문에 디스크용량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아래 명령어를 쳐서 디스크용량을 확인해보자 $ df -h 541G로 용량이 꽉차서 Avail 용량이 0이다. VG1-LV1이란 것은 볼륨그룹1의 논리볼륨1이라는 뜻이다. LV를 새로 만들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dev/mapper/VG1-LV1이라는 폴더의 용량을 200G 늘려보겠다. VM상에서 용량을 200G 늘려준뒤에 gparted라는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다. $ apt-get install gparted VM에서 용량늘려주는 방법은 VMware 업체마다 다르므로 패스.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UI가 뜨는데 마우스 드래그로 unused 디스크를 활용하여 파티션을 .. 3. 특정 포트 허용 하기 (2) - iptables 사용 앞 장에서는 포트의 state를 확인하는 법을 배웠다. 이번에는 iptables를 이용하여 리눅스방화벽 ufw를 조작하는 법을 말해보겠다. 리눅스에서 아래 명령어를 쳤을 때 No command가 나오면 iptables를 설치해줘야한다. $ iptables -nL $ apt-get install iptables-persistent //리눅스 방화벽 ufw를 disable시킨 상태에서 iptables를 설치한다. $ cp /usr/share/netfilter-persistent/plugins.d/15-ip4tables /etc/init.d/iptables → 해당 파일 init.d에 복사한다. $ sudo /etc/init.d/iptables start //iptables를 시작한다. $ /etc/init... 2. 특정 포트 허용 하기 (1) - 특정 아이피, 포트 연결확인 리눅스 자체 방화벽에서 포트를 열고 닫는데 이때 다른 컴퓨터나 VM에서 접속하려고 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포트가 닫혀있는지 확인하는 법은 cmd에서는 ping이나 tcping을 사용하면 된다. 아래처럼 나오면 연결이 안된다는 뜻 아래처럼 나오면 연결이 잘 동작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특정 포트에 알아보고 싶으면 tcping을 쓰면 된다. 설치방법은 C:\Windows\System32 경로에 아래 파일을 복사하면된다. 그리고 cmd창에 tcping이라고 입력하면 쭈루룩 무언가가 뜨는데, 이러면 설치 성공이다. 5009포트에 대해서 tcping 테스트를 해보면 아래와 같이나온다. No response라고 뜨는데, 이는 5009 포트가 닫혀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5006 포트는 열려있기에 아래와 같이 정상적.. 1. 리눅스에서 많이 쓰는 명령어 리눅스는 대표적으로 우분투, CentOS, KaliLinux 등이 있지만 Ubuntu 기준으로 기술한다. 1. 리눅스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하기 ps 명령어를 사용한다. 옵션 설명 -e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해 준다. -f 풀 포맷으로 보여준다. (UIP, PID) -l 긴 포맷으로 보여준다. -p 특정 PID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u 특정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여기서 PID는 프로세스를 구별하는 유일한 요소이며, UID는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람의 정보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그리고 PPID는 프로세스를 만든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나타내는 값이다. 옵션으로는 aux, -e 등 많지만 -ef나 -el을 grep과 함께 많이 사용한다. $ ps -el | grep "찾을 문자열" 예) .. 이전 1 다음